티스토리 뷰


 
내친 김에 한 가지 더.

MB와 한나라 정권의 실정, 노골적인 부자편들기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크다. 한 번 확 바꿔보자는 범야권과 시민사회의 전투의지 또한 충만하다. 잘만 하면 극우보수세력을 초토화하고 개혁+진보세력의 힘을 크게 키운 뒤, 법, 경우에 따라서는 헌법이라도 바꿔 우리의 정치지형을 중도보수와 진보의 각축장으로 '정상화'해보자는 대기획이 성공을 거둘 수도 있을법한 절호의 기회다. 물론 '잘만 하면'에다 운과 안팎의 지원까지 따를 경우의 이야기다.

선거에 목을 매는 건 물론 바람직한 일은 아니지만, 적어도 선거 시기에는 진보의 여건을 확장하는 데 선거의 '승리'나 '개입'만큼 투입 대비 산출 효과가 높은 것도 없다는 생각이다. 해서, 요즘 돌아가는 꼴이 좀 갑갑한 생각이 들어 몇 자 끼적여본다.

'대승리'의 전제는 여러가지고, '승리'의 질도 물론 중요하지만, 전제 중 하나가 야권연대의 성공이라는 데 이의를 다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언론이나 정치권에서 흘러나오는 '연대협상' 이야기를 듣다 보면, 이번에도 결국 '진흙탕 싸움'인가 하는 우려를 떨칠 수 없다.

한마디로, 민주당 쪽의 국민경선 주장이나 진보 쪽의 전략지역 우선배려 또는 권역별 지지율에 따른 산술적 배분은 모두 실현 가능성 면에서나 부작용 최소화 면에서나 최적의 방안이 아니다.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이기는 연대라는 대원칙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민주당이나 진보 쪽의 실세들이 저마다 자기세력을 챙기고자 하는 마음만 깨끗이 비운다면, '윈윈'과 '대승리', '소수세력 배려'의 원칙에 부합하는 방안은 쉽게 찾을 수 있다.

'권역별 지지율에 따른 잠정 배분'에다 '상대 경쟁력 검증'이라는 과정을 결합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예컨대 지지율 비율이 5대 1인 권역의 경우, 잠정 지분을 5대 1로 정한 뒤, 전 지역구에서 상대 후보(여권 후보)와의 경쟁시 승리 여부를 검증하여 최종 주자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하면 민주당 쪽이나 진보 쪽이나 '들러리' 섰다가 나중에 유리창 깨는 사태를 극소화할 수 있고, 야권의 승리 폭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이 지역은 꼭 우리 당이, 또는 우리 세력이, 또는 내 사람이 가져야 한다는 억지를 버리는 것이다. 그렇게만 한다면 모든 지역에서 경쟁력을 갖추어 이길 수 있는 후보(소수세력이 이길 수 있는 곳에서는 소수세력의 후보)가 야권후보로 나설 수 있게 되고, 모든 후보가 경쟁의 기회를 갖게 되어 연대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통합진보당 외 다른 진보정당이나 시민사회 또는 야권 무소속 후보에게도 똑같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야권의 '대승리'를 바라는 소박한 민초들은 정치권 내의 이전투구에는 별 관심이 없다. 아무쪼록 민초들의 소박한 바람이 배반당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뒤로는 또 새로운 '내일'이 시작될 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