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5. 스러져간 사람들
이제 금정굴의 낙화로 스러져간 희생자들을 돌아볼 시간이다.
우선 확인된 이름부터 새겨보고, 그 사유를 들어보자.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사유를 들어보면 정식 재판에 부쳤을 경우 사형은커녕 훈방될 사람이 대부분이어서 우리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한다.
먼저 2007년 6월 진실화해위에서 금정굴 사건 희생자로 신원이 확인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연번 | 희생자 | 거주지 | 성별 | 나이 | 직업 |
1 | 최의현 | 중면 마두리 215 | 남 | 37 | 농업 |
2 | 고산돌 | 중면 백석리 507 | 남 | 52 | 농업 |
3 | 유해진 | 중면 백석리 507 | 남 | 32 | 농업 |
4 | 한복영 | 중면 백석리 507 | 남 | 32 | 농업 |
5 | 허정임 | 중면 백석리 507 | 여 | 22 | 가사 |
6 | 정한희 | 중면 일산리 96 | 남 | 52 | 농업 |
7 | 정대철 | 중면 일산리 96 | 남 | 20 | 농업 |
8 | 정영학 | 중면 일산리 101 | 남 | 21 | 농업 |
9 | 김석권 | 중면 일산리 585 | 남 | 24 | 상업 |
10 | 이봉린 | 중면 일산리 602 | 남 | 46 | 농업 |
11 | 박순조 | 중면 일산리 610(추정) | 남 | 25 | 양복점 |
12 | 박순환 | 중면 일산리 610(추정) | 남 | 23 | |
13 | 한창석 | 중면 일산리 613 | 남 | 40 | 대서소 |
14 | 서상용 | 중면 일산리 650 | 남 | 46 | 교장 |
15 | 서병철 | 중면 일산리 650 | 남 | 24 | 교사 |
16 | 서병욱 | 중면 일산리 650 | 남 | 19 | 학생 |
17 | 이규봉 | 중면 일산리 655 | 남 | 51 | 농업 |
18 | 이정례 | 중면 일산리 655 | 여 | 17 | 가사 |
19 | 윤영규 | 중면 일산리 655-317 | 남 | 25 | |
20 | 안희준 | 중면 일산리 | 남 | 26 | 농업 |
21 | 이기철 | 중면 일산리 | 남 | 42 | 농업 |
22 | 김광제 | 중면 일산리 968 | 남 | 24 | |
23 | 박근식 | 중면 장항리 | 남 | 40 | 농업 |
24 | 박인식 | 중면 장항리 | 남 | 19 | 농업 |
25 | 권학길 | 중면 장항리 438 | 남 | 23 | 농업 |
26 | 최종석 | 중면 장항리 483 | 남 | 30 | 농업 |
27 | 박희문 | 중면 주엽리 815 | 남 | 27 | 농업 |
28 | 김용남 | 송포면 가좌리 103 | 남 | 39 | 농업 |
29 | 김영선 | 송포면 구산리 405 | 여 | 57 | 농업 |
30 | 전옥자 | 송포면 구산리 405 | 여 | 17 | |
31 | 이돌섭 | 송포면 대화리 849 | 남 | 19 | |
32 | 김천흥 | 송포면 덕이리 405 | 남 | 45 | 농업 |
33 | 김영환 | 송포면 덕이리 419 | 남 | 27 | 철도근무 |
34 | 김재환 | 송포면 덕이리 419 | 남 | 29 | 농업 |
35 | 유희철 | 송포면 덕이리 420 | 남 | 30 | 철도근무 |
36 | 안점봉 | 송포면 덕이리 430 | 남 | 59 | 철도근무 |
37 | 안형노 | 송포면 덕이리 430 | 남 | 35 | 장사 |
38 | 안상노 | 송포면 덕이리 430 | 남 | 21 | |
39 | 안용노 | 송포면 덕이리 430 | 남 | 20 | 농업 |
40 | 이용우 | 송포면 덕이리 735 | 남 | 26 | 농업 |
41 | 최재옥 | 송포면 덕이리 937 | 남 | 24 | 교사 |
42 | 최연 | 송포면 덕이리 1006 | 남 | 27 | 교사 |
43 | 최담 | 송포면 덕이리 1006 | 남 | 22 | |
44 | 박만협 | 송포면 덕이리 1093 | 남 | 28 | 농업 |
45 | 조병호 | 송포면 덕이리 1193 | 남 | 39 | 농업 |
46 | 김진섭 | 송포면 덕이리 1193 | 남 | 30대 | 농업 |
47 | 김명산 | 송포면 덕이리 1198 | 남 | 30대 | 농업 |
48 | 방용섭 | 송포면 덕이리 1198 | 남 | 20대 | 농업 |
49 | 김만성 | 송포면 덕이리 | 남 | 30대 | 농업 |
50 | 김진홍 | 송포면 덕이리 1199 | 남 | 24 | 농업 |
51 | 심기만 | 송포면 법곳리 71 | 남 | 23 | 농업 |
52 | 심우현 | 송포면 법곳리 71 | 남 | 26 | 농업 |
53 | 심준섭 | 송포면 법곳리 71 | 남 | 26 | 농업 |
54 | 유필준 | 송포면 법곳리 97 | 남 | 35 | 농업 |
55 | 노인성 | 송포면 법곳리 381 | 남 | 24 | 농업 |
56 | 심재천 | 송포면 법곳리 448 | 남 | 25 | 농업 |
57 | 노춘석 | 송포면 법곳리 449 | 남 | 39 | 농업 |
58 | 홍기원 | 벽제면 성석리 892 | 남 | 20 | 회사원 |
59 | 김상국 | 벽제면 내유리 650 | 남 | 21 | 농업 |
60 | 김호연 | 벽제면 내유리 657 | 남 | 23 | 농업 |
61 | 서정희 | 벽제면 사리현리 390 | 남 | 35 | 농업 |
62 | 김대봉 | 벽제면 사리현리 | 남 | 20대 | 농업 |
63 | 이봉훈 | 벽제면 사리현리 | 남 | 40 | 농업 |
64 | 이태우 | 지도면 강매리 188 | 남 | 40 | 농업 |
65 | 이병희 | 지도면 신평리 19 | 남 | 27 | 악기점 |
66 | 이금현 | 지도면 행주외리 261 | 여 | 46 | 가사 |
67 | 장기연 | 원당면 도내리 | 남 | 27 | 농업 |
68 | 장석용 | 원당면 도내리 | 남 | 29 | 농업 |
69 | 장기철 | 원당면 도내리 | 남 | 25 | 농업 |
70 | 박중원 | 원당면 주교리 323 | 남 | 40 | |
71 | 박상하 | 원당면 주교리 | 남 | 18 | |
72 | 김순동 | 은평면 수색리 125 | 남 | 38 | |
73 | 정씨 | 은평면 구산리 | 여 | 53 | |
74 | 안종건 | 은평면 구산리 | 남 | 19 | |
75 | 안복례 | 은평면 구산리 | 여 | 17 | |
76 | 채기동 | 교하면 야당리 22 | 남 | 36 | 농업 |
<표> 진실화해위에서 금정굴 사건 희생자로 신원을 확인한 명단
이 밖에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금정굴 희생자로 추정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1. 설문현, 남, 30대, 중면 마두리
2. 김영석 부, 남, 중면 일산리
3. 이창선, 남, 30대, 중면 장항리
4. 최영실, 남, 20대, 송포면 덕이리
5. 최원영, 남, 송포면 덕이리
6. 최대철, 남, 벽제면 사리현리
7. 원종선 외삼촌 이씨, 20대, 벽제면 사리현리
8. 김화진, 남, 20대, 벽제면 사리현리
9. 심언섭, 남, 30대, 지도면 강매리
다음으로, 2007년 11월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고양부역혐의사건(고양금정굴 외 5개 사건)의 희생자로 신원을 확인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1. 이범인, 남, 46,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희생지)
2. 피원기, 남, 38,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3. 피원순, 남, 27,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4. 김영연, 여, 62, 송포면 구산리, 심학산
5. 피경애, 여, 14, 송포면 구산리, 심학산
6. 피순성, 남, 28,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7. 양용한, 남,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8. 안종덕, 남, 16, 송포면 덕이리, 새벽구덩이
9. 안종옥, 남, 12, 송포면 덕이리, 새벽구덩이
10. 박상진, 남, 41, 벽제면 성석리, 뒷골
11. 현아순, 여, 39, 벽제면 성석리, 뒷골
12. 박성인, 남, 17, 벽제면 성석리, 뒷골
13. 김현세, 남, 35, 벽제면 성석리, 뒷골
14. 차제순, 여, 38, 벽제면 성석리, 뒷골
15. 김태규, 남, 13, 벽제면 성석리, 뒷골
16. 김봉규, 남, 6, 벽제면 성석리, 뒷골
17. 이해용, 여, 23, 벽제면 성석리, 뒷골
18. 김용배, 남, 벽제면 성석리, 뒷골
19. 김현남, 남, 벽제면 성석리, 뒷골
20. 안일례, 여, 벽제면 성석리, 뒷골
21. 황을성, 남, 37, 신도면 현천리, 현천공동묘지
22. 황뇌성, 남, 42, 신도면 현천리, 다락고개
23. 황재덕, 남, 신도면 화전리, 화전리치안대 사무실
24. 황온순, 남, 신도면 화전리, 현천공동묘지
25. 정범성, 남, 30, 신도면 현천리, 현천공동묘지
26. 지희덕, 남, 30, 신도면 화전리, 화전뒷산
이 밖에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금정굴 외 고양부역혐의사건 희생자로 추정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1. 임복성, 남, 33,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희생지)
2. 한경임, 여, 31,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3. 임경학, 남, 6,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4. 임복남, 남, 23,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5. 임복만, 남, 18,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6. 홍제관 일가,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7. 강은성 일가, 송포면 구산리, 한강변
8. 어수갑, 남, 김포군 하성면 석탄리, 금정굴
9. o 시원, 남, 벽제면 성석리, 뒷골
10. 신명복, 벽제면 성석리, 뒷골
11. 김순범, 신도면 화전리
12. 허찬, 남, 41, 신도면 화전리, 화전리
13. 서병숙, 남, 21, 중면 일산리, 대구형무소(재소자인명부)
14. 원정기, 남, 27, 신도면 삼송리
그리고 2007년 금정굴 사건 진실규명 이후 사건의 진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형사사건기록이 발견되었다.
금정굴 사건이 끝나가던 즈음인 1950년 10월 말부터 11월 사이에 군검경 합동수사본부에서 유족들의 신고 접수를 받아 사건을 조사하여 남긴 국가 기록물이다.
형사사건기록과 그 밖의 증거 등으로 추가 확인된 희생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1. 이종봉, 남, 중면 마두리, 금정굴(희생지)
2. 강선봉, 남, 중면 백석리, 금정굴
3. 허진임, 여, 중면 백석리, 금정굴
4. 김규순,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5. 김암권,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6. 김영한,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7. 김윤권,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8. 안석모,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9. 안용택,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0. 윤영만 모, 여, 중면 일산리, 금정굴
11. 오일섭,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2. 이영창,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3. 이경학,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4. 이계상,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5. 이병호,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6. 이종한 모, 여, 중면 일산리, 금정굴
17. 이한상,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8. 이홍철,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19. 이홍철 처, 여, 중면 일산리, 금정굴
20. 임용태,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21. 임종태,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22. 장성의,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23. 최용복,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24. 홍규원, 남, 중면 일산리, 금정굴
25. 임상준, 남, 중면 장항리, 금정굴
26. 한일성, 남, 중면 장항리, 주엽 하천
27. 한요수, 남, 중면 장항리, 주엽 하천
28. o o o, 남, 중면 주엽리, 주엽 하천
29. 최단, 남, 송포면 덕이리, 금정굴
30. 황용문, 남, 은평면 수색리
31. 박동수, 금정굴
32. 심상신, 금정굴
33. 이영희, 금정굴
이상으로, 금정굴 및 고양지역에서 신원이 확인된 희생자 명단을 살펴보았다.
물론 사건이 알려지면서 지금까지도 증언이 계속 나오고 새로운 유족들도 속속 나타나고 있지만, 확실성을 기하기 위해 위 명단에는 넣지 않았다.
신원이 어느 정도 확인된 희생자 수는 총 158명(일가몰살을 포함하지 않은 수)인데, 그중 40명 남짓을 제외한 110여 명이 금정굴에서 희생된 분들이다.
금정굴 희생자 수에 대해서는 진실화해위의 금정굴 사건 진실규명 이후 신빙성 있는 기록이 나왔는데, 앞서 이야기한 형사사건기록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금정굴 희생자를 약 200명으로 증언하고 있다.
한강변 희생자에 대해서는 최소 200명에서 400명까지 증언이 엇갈리며, 그 밖에 10여 곳에서 많게는 100여 명까지 희생당했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종합하면, 고양지역의 희생자 총수는 최소 1천 명으로 추산된다.
물론 이는 실제로나, 지휘 계통상으로나 모두 고양경찰서장 책임하에 불법적으로 집단살해된 민간인 희생자들만의 숫자다.
전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죽은 사람들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확인된 희생자 명단에서도 보듯이, 희생된 이들 중 여자가 10%를 넘고, 10대 또는 그 이하의 수도 10%가 넘는다.
구산리 한강변 사례 외 확인되지 않은 일가몰살 희생자를 더하면 그 비중은 훨씬 더 커질 것이다.
이는 당시의 집단살해가 어떤 성격을 띠고 있었는지 잘 말해주는 증거다.
무슨 이유로 끌려와 죽임을 당했나?
이들의 ‘불법 즉결처형’에 적용된 ‘죄목’은 당시의 조사 자료가 없어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힘들다.
다만 관계자 및 유족들의 증언, 그리고 사건 직후 군검경 합동수사본부에서 조사, 작성한 형사사건기록을 통해 그 얼개는 알 수 있다.
첫째는 인민군 점령기에 마을 단위의 인민위원회나 사회단체에서 일하며 인민군을 도운 사람들이다.
그러나 당시 군이나 면 등 상급 단위에서 중추적 역할을 맡아 인민군에게 부역한 사람들은 인민군 퇴각과 함께 이미 피신한 뒤였다.
남은 사람들은 리나 마을 단위의 인민위원회, 농촌위원회, 여성동맹위원회, 민주청년동맹위원회, 교육위원회 등 향정관련 기관에서 일한 사람들로서, 수복 후에 자신이 피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 사람들이었다.
게다가 이들은 전쟁 전부터 마을 이장이나 구장, 단체 간부를 맡고 있다가 인민군 치하에서 그 직책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금정굴 희생자의 경우, 약 1/3 정도가 ‘부역’이라고도 할 수 없는 이런 경미한 직책을 맡아 일을 보다가 참변을 당했다.
둘째는 부역혐의자의 가족이나 친인척이라는 이유로 죽임을 당한 사람들이다.
경찰이나 우익단체가 인민군 치하에서 피해를 당한 데 대한 보복으로 부역혐의자 가족들까지 끌고 와 살해한 것이다.
심지어는 한 사람의 부역자로 인해 온 가족이 거의 몰살당한 경우도 있었다.
씨를 말려야 후환이 없다는 의식, 재산 약탈 목적 등도 작용했다.
‘사촌이 일 좀 봤다는 이유로’ 그 일가친척을 잡아다 처벌한 데 대해서는 살벌하던 그 당시에도 가혹하다는 평이 지배적이었다.
금정굴 희생자의 1/3 이상이 부역혐의자의 가족이나 친인척이었고, 금정굴 외 마을 단위 학살에서는 가족 희생자가 훨씬 더 많았다.
셋째는 평소에 개인감정을 품고 있던 사람들을 무고하여 잡아다 죽인 경우다.
이 경우에는 전쟁 이전의 우익단체원들(보도연맹원 포함)이 인민군 점령기에 다시 인민군에게 부역을 하고 수복 후에는 다시 의용경찰대원이나 우익 치안대원으로 기용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인민군 점령기에 부역 활동을 한 적이 있는 사람들 중 수복 후에 의용경찰대원이나 치안대원으로 변신하여 일하던 사람들이 자신의 전력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붙잡아다 죽인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 밖에 다른 지역에서 부역 행위를 하다가 이 지역으로 피신을 와서 붙잡혀 희생된 사람들도 일부 있었다.
슬픈 사실은 그 어떤 경우든 법에 따라 정식 재판을 받았을 경우 사형이라는 극형을 언도받을 사람은 전혀 없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자신의 이념과 신념에 따라 행동하다가 기꺼이 죽음을 맞이한 사람도 거의 없었다.
한마디로 이 땅의 순박한 민초들이 분단과 전쟁, 이념 대립, 권력 유지의 희생양으로 애꿎은 죽음을 맞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이다.
'평화인권 이야기 > 금정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굴의 진실을 찾아서(7) - 남은 사람들 (0) | 2015.10.04 |
---|---|
금정굴의 진실을 찾아서(6) - 가해자들 (0) | 2015.10.04 |
금정굴의 진실을 찾아서(4) - 10문 10답 (3) | 2015.10.04 |
금정굴의 진실을 찾아서(3) - 진상규명의 역사 (0) | 2015.10.04 |
금정굴의 진실을 찾아서(2) - 사건 개요 (0) | 2015.10.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치공동체
- 피해회복
- 민간인학살
- 부역혐의
- 이동환
- 위령제
- 주민자치
- 이동환 고양시장
- 마을공동체
- 과거사법
- 수정예산
- 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
- 고양풀뿌리공동체
- 선거연합
- 자치도시
- 풀뿌리 주민자치
- 예산편성
- 지방자치
- 야권연대
- 고양시장
- 신자유주의
- 거버넌스
- 금정굴
- 진상규명
- 고양시
- 과학기술혁명
- 평화공원
- 시민정치운동
- 진실화해위
- 고양무지개연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